학술회의
인하대학교 박물관은 2000년부터 매년 1~2회 박물관 학술회의를 개최하여 연구성과와 조사성과를 종합하고, 이를 연구자와 일반에 공개하여 인천지역 역사와 문화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게 하고 있다.
그동안 인하대학교 박물관 학술회의를 통해 논의된 주제는 “대곡동 지석묘”, “교동읍성”, “인천의 무속문화” 등 조사된 문화유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과 “인하대학교 50년의 회고와 전망”, “지역문화와 대학박물관”, “용, 그 신화와 문화” 등 특별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었다. 박물관 학술회의를 통해 발표된 논문과 발표문은 『박물관지』나 별도의 학술총서로 간행하여 그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.
그동안 인하대학교 박물관 학술회의를 통해 논의된 주제는 “대곡동 지석묘”, “교동읍성”, “인천의 무속문화” 등 조사된 문화유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과 “인하대학교 50년의 회고와 전망”, “지역문화와 대학박물관”, “용, 그 신화와 문화” 등 특별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었다. 박물관 학술회의를 통해 발표된 논문과 발표문은 『박물관지』나 별도의 학술총서로 간행하여 그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.
2000. | 제 1회 학술회의 : 용, 그 신화와 문화 |
---|---|
2000. |
|
2003. | 제 4회 학술회의 : 관우 |
2004. |
|
2005. | 제 7회 학술회의 : 인천지역의 고인돌 문화 |
2006. | 제 8회 학술회의 : 인천의 민속문화 |
2007. | 제 9회 학술회의 : 교동의 문화유산과 그 문화적 특성 |
2008. | 제 10회 학술회의 : 지역문화와 대학박물관 |
2009. | 제 11회 학술회의 : 인천지역사 편찬의 성과와 과제 |
2010. | 제 12회 학술회의 : 문학산 일대의 역사와 문화 |
2011. | 제 13회 학술회의 : ‘서해 5도의 역사와 문화’ |
2012. | 제 14회 학술회의 : 원(原) 인천지역 민속제의에 대한 기억과 전승 |
2013. | 제 15회 학술회의 : 근·현대 부평의 역사와 민속 |
2014. | 제 16회 학술회의 : 인천 인문학의 산실, 학산서원의 역사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 |
2015. | 제 17회 학술회의 : 인천 해양과 도서의 역사적 가치 |
2016. | 제 18회 학술회의 : 서해 5도의 해양문화 환경과 보존방향 |
2017. | 제 19회 학술회의 : 문명의 교류와 충돌의 장 - ‘인천해역’의 재발견 |
2018. | 제 20회 학술회의 : 인천 시 지정문화재의 관리 방안 모색 |
2019. | 제 21회 학술회의 : 미추홀구 소재 역사유산 연구 성과 및 쟁점 |
2020. | 제 22회 학술회의 : 영겁(永劫)의 지문: 백령·대청·소청의 생태·역사자원 발굴과 활용 |
2021. | 제 23회 학술회의 : 인천 역사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전문가 집담회 |
2022. | 제 24회 학술회의 : 근대 인천의 제조업과 산업유산 |
2023. | 제25회 학술회의 : 근현대 인천의 제조업 동향 |
2024. | 제26회 학술회의 : 승봉도의 역사와 문화 |